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책/사회2

새로 쓴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 임승수 이 책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강의 형식으로 쉽게 설명한 책이다. 마르크스, 자본론이란 단어를 들으면 내용도 모르면서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비판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아무래도 마르크스라는 이름에서 공산주의, 사회주의를 떠올려서 그런 것이 같다. 하지만 자본론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본주의에 관한 책이다. 자본주의가 탄생하고 성장해 가는 과정을 보며 그 현실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책이라고 한다. 나도 제목은 많이 들었지만 읽어보지는 않은 자본론을 쉽게 접근하기 위해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자본주의란 무엇일까. 사회형태를 구분하는 기준은 생산관계라고 한다. 노예제 사회의 생산관계는 '노예-노예주 관계'인 셈이고 봉건제 사회는 '영주-농노관계'인 셈이다. 자본주의 사회의 생산관계는 '자본.. 2023. 3. 18.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장 지글러 전 세계의 식량 생산량은 현재 인구의 2배를 먹여 살리고도 남는다. 하지만 8억 5,000만 명의 인구가 기아 상태에 있다. 이 책은 하루에도 수만 명의 사람이 굶어 죽는 현실과 그 이유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 거의 유일한 책인 것 같다. 나도 유니세프에 후원을 하고 있지만 그들의 현실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았는데 이 책을 보니 조금 이해가 되었다.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는 것이 안타까웠다. 기아는 경제적 기아와 구조적 기아로 구분할 수 있다. 경제적 기아는 "돌발적이고 급격한 일과성의 경제적 위기로 발생하는 기아"다. 가뭄이나 허리케인 등이 대표적인 예이며 국제적인 도움의 손길이 필요하다. 구조적 기아는 그 나라를 지배하는 사회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기아다. 생산력 저조, 인.. 2020. 12. 8.
반응형